역진세1 누진세란? 비례세, 역진세도 같이 알아봄 *누진세란? 세금을 매기는 대상의 금액이 많을수록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과세 방식을 뜻한다. (우리나라에선 가장 대표적인 누진세는 소득세. 우리나라는 연 소득이 2000만원인 사람에겐 15%의 소득세를 걷고, 2억원을 버는 사람에겐 38%의 세금을 걷고 있다) 우리나라 전기요금도 누진세로 불리는 대표적인 요금이다. 전기를 많이 쓸수록 전기요금이 훨씬 더 많이 나오는 구조이기 때문. 평소의 3배 정도 전기를 쓰면 요금은 3배를 넘어서 5~6배가 나올 수도 있다. 사실 전기요금은 공공요금이지 세금은 아니라서 ‘누진세’보다 ‘누진 요금제’가 더 적절한 표현이긴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전기요금은 누진세’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세금을 매기는 3가지 방법 1) 누진세 (progressive tax) : 소득금액.. 2023. 4.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