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기준금리 뉴스에 자주 등장하는 ‘bp’는 ‘basis point’의 약자로 금융에서 쓰이는 기본단위. 금리나 수익률, 환율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백분율이 아닌 ‘만분율’ 단위의 움직임을 표현하는데, 1bp는 0.01%p, 10bp는 0.1%p, 100bp는 1%p다.
금융시장에서는 0.01%p의 움직임도 영향력이 커서 0.01%p도 뉴스에 자주 언급됩니다. 백분율을 기준으로 ‘퍼센트포인트’라고 말하는 것보다 만분율을 기준으로 bp로 나타내는 것이 정보전달에 더 효율적이라서 사용한다는 얘기가 있다.
Basis Point Calculator라고 이런것도 있네
Basis Point Calculator (omnicalculator.com)
Basis Point Calculator
Basis points are mainly used in finance to describe the percentage changes or to denote a difference between two interest rates, especially when the rate difference is less than 1 percent. Basis points are used for measuring yields, loans, treasury bonds,
www.omnicalculator.com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잡학피디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백전 혜택 한도 캐시백 축소ㅠㅠ (0) | 2022.07.29 |
---|---|
미술품 재테크 : 미술품 구매와 판매 시의 세금 알아보자 (0) | 2022.07.29 |
소득세 과표구간 조정 (소득세율 세제 소득공제 개편안) (0) | 2022.07.25 |
2022년 세제개편안 발표 자료 정리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0) | 2022.07.22 |
성일하이텍 공모주 신청해볼까? (0) | 2022.07.19 |